환경운동연합 회원들이 9일 서울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방류 반대 캠페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오염수를 해양 방류하는 방안을 도쿄올림픽 이전에 결정할 것이라 전했다. 다만 일본은 오염수 배출 방식 결정이 '주권' 문제라고 강조하면서 결정 이후에야 한국 등 국제사회와 해양 환경 모니터링 방안에 대해서 협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주한 일본대사관 관계자는 20일 서울 종로구 대사관에서 외교부 기자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갖고 "(오염수 방류 결정을) 언제까지 미룰 수 없고 조만간 결정될 것"이라며 "단언할 수 없지만 연내일 가능성도 있다. 당연히 도쿄올림픽 이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웃나라인 한국 국민들이 걱정하고 있다는 것은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며 "일본 정부는 올해 2월 소위원회 보고서에서 해양 방출과 수증기 방출 두 가지 선택지가 제안돼 이를 바탕으로 계속 검토하고 있다. 어느 방법으로 처분되더라도 국제 기준을 준수하도록 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유엔과학위원회(UNSCEAR)의 방법을 이용해 (자체)평가한 결과 현재 저장 탱크에 보관된 처리수를 매년 배출해도 일본 내 자연 방사선에 의한 영향(2.1mSv/연)의 1000분의 1 이하 수준이었다”고 주장했다. 
 
일본 정부에 따르면 현재 후쿠시마 제1원전에는 지하수, 빗물 등으로 오염수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이를 바다나 지하수로 흘러가지 않도록 차폐막을 설치한 뒤, 오염수를 뽑아 알프스(ALPS)라는 방식으로 1차 정화해 저장 탱크 979곳에 모으고 있다.
 
알프스 처리 과정은 일단 저장 탱크로 빼내는 기준을 충족시킨 것이라고 한다. 일본 측 주장에 따르면 방사성 물질인 세슘137, 스트론튬90, 탄소14 등은 대부분 제거되고, 트리튬은 제거가 안 된 채 남아있다. 해양 방류나 수증기 배출 등 자연 방출을 위해선 알프스 처리수의 70% 가량에 대해 추가로 방사성 물질을 정화, 희석해야 한다. 
 
제거가 안 되는 트리튬과 관련해 대사관 관계자는 “트리튬은 인체에도 있고, 세계 모든 원자력 시설에서 다 방출하고 있는 물질”이라면서 국제 기준에 맞춰 희석하면 과학적으로 안전한 기준 이하가 된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도 일본 국민이 있고, 국민의 건강이나 생명에 해로운 방법을 택할 리가 없다"고 말했다.
 
'트리튬의 장기 배출 문제를 일본 정부가 축소하는 건 아닌가'라는 질문에 대사관 관계자는 “이는 과학적으로 처리하는 문제로 지나치게 정치화할 일이 아니다”며 “국제 관행상 모든 국가가 원자력 발전 과정에서 나오는 물에 대해서는 해양 방출을 자연스럽게 하고 있고, (한국의) 월성 원전에서도 해양방출을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일각에서는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월성 원전의 배출수와 대규모 방사능 누출 사고가 일어난 후쿠시마 원전에서 발생한 오염수를 단순 비교하는 것은 무리라고 꼬집었다. 

이와 더불어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오염수에는 삼중수소 외에 탄소-14, 스트론튬-90, 세슘 등 더 위험한 물질이 포함돼 있는데도 일본 정부가 제대로 알리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알프스로 제거할 수 없는 삼중수소의 경우 수산물 섭취를 통해 체내에 축적되면 유전자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내놨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일부는 일본이 내년 7월 도쿄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르기 위해 무리해서 방류 계획을 발표하려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일본 정부는 알프스 처리수 보관 탱크를 올 연말까지 137만㎥로 증설할 예정인데, 이 저장고가 모두 차는 시점이 2022년 여름쯤이라고 한다. 그 전에 해양 방출이든, 증류 방출이든 결정을 해야 하는데, 해양 방류가 유력한 것으로 관측된다.  

이날 설명회에서 대사관 측은 일본이 국제사회의 지지를 받고 있다고도 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일본이 국제 관행을 따르고 있다’고 평가했다”며 “올해 9월 IAEA 정기총회에서 한국 대표부는 일본을 비판했지만, 그 외 나라들은 문제 삼은 곳이 없었다”면서다.  

저작권자 © 시사비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