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현대자동차, 포스코, 한화, 효성 등 5개 그룹과 중소·중견기업들이 2030년까지 수소 생산, 유통·저장, 활용 등 수소경제 전 분야에 43조4000억원을 투입한다. 정부는 이를 뒷받침할 '한국판 수소위원회' 결성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2일 오후 SK인천석유화학에서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제3차 수소경제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논의했다.

수소경제위원회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며 8개 관계부처 장관과 산업계·학계·시민단체 등 분야별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수소경제 컨트롤타워다.

이날 회의에서 민간 기업들은 청정수소 분야에 집중 투자해 대규모 그린수소 생산 기술을 개발하고 국내외에 대량 생산 기지를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SK는 연료전지발전소 구축 등에 18조5000억원을, 현대차는 수소차 생산·보급 등에 11조1000억원을 투입한다.

포스코는 10조원을 들여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에 나선다. 한화와 효성은 그린수소 생산, 액화수소플랜드 등에 각가 1조3000억원, 1조2000억원을 쓸 계획이다.

이들은 대규모 액화수소플랜트 구축과 액화수소충전소 보급 확대에도 나선다.

수소 교통수단도 승용차를 비롯해 버스, 지게차, 선박 등으로 다양해진다. 청정수소를 활용한 연료전지 보급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청정수소 인증제 도입과 다양한 규모·방식의 그린수소 연구개발(R&D) 실증을 지원한다. 

액화수소 관련 안전 규정을 올해 안으로 마련하고, 산업통상자원부를 중심으로 대규모 부생수소 출하 시점에 맞춰 액화수소 밸류체인 전반을 일괄 지원하는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아울러 그간 산업 공정에서 연료로 사용된 부생수소를 수송용으로 전환해 온실가스를 줄이고 값싼 수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탄소배출권 등 혜택 부여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수소경제를 주도하는 글로벌 기업 모임인 '수소위원회'를 벤치마킹한 '한국판 수소위원회' 결성도 지원한다. 여기서는 수소경제 투자 활성화를 위한 규제·제도 개선을 건의하고 기술 수요 조사, 협력 사업 발굴 등을 추진한다.

수소 산업 진흥 전담기관인 수소융합얼라이언스에는 수소혁신데스크가 설치된다. 이를 통해 수소 전문인력·기업 육성과 수소 핵심소재·부품 기술 개발 등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지난해 7월 수소경제위원회에서 지정된 '수소산업 진흥(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유통(한국가스공사)·안전(한국가스안전공사)' 3개 전담기관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작한다.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은 수소전문기업들의 현장 고충 해소와 기술 개발 등을 돕기 위한 '찾아가는 컨설팅'을 운영한다. 또한 수소 산업 통계 시스템을 구축하고 수소올림피아드, 퀴즈 대회 등 국민 체감형 프로그램도 마련한다.

가스공사는 수소 공동 구매 등을 통해 수소 가격 인하를 유도하고 충전소에 수소튜브트레일러를 저가로 임대해주는 사업을 시작한다.

수소차 이용자들의 편익을 위한 실시간 수소충전소 운영 정보 시스템도 구축해 올해 하반기부터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가스안전공사는 내년 2월 수소 안전 분야 '수소법' 시행에 대비해 상세한 수소 제품 안전 기준을 마련한다. 수소충전소 정밀 안전 진단 제도 도입과 실시간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등도 주요 업무 가운데 하나다.

정 총리는 "올해 '수소법' 시행을 계기로 국민과 기업, 정부가 '동주공제'(同舟共濟)의 마음으로 힘을 모아 수소 생산·유통·활용 전반에 걸쳐 균형 있는 수소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2050 탄소중립을 목표로 나아가겠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위원회에서 인천광역시와 인천광역시서구청, SK E&S, 현대자동차는 '인천 수소 산업 기반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SK는 세계 최대 규모인 연간 3만t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액화수소 생산·출하시설을 구축해 2023년부터 서울·인천 등 수도권 지역 수소차 20만대에 수소를 공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시사비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