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24번에 걸친 부동산 대책 발표로 서울 강남권뿐 아니라 전국 매매·전세시장에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정부의 부동산 시장 안정화 의지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5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서울 강남권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4평형) 아파트 전셋값이 20억 원대로 맞춰지고 있다. 

지난달 15일 서초구 반포 아크로리버파크 해당 면적 전세거래가 20억 원에 이뤄진 데 이어 같은 달 21일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의 해당 면적이 20억2000만 원에 거래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7월 말 개정된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시행되기 전 15억~16억 원 선에 거래됐으나 이후 전세난이 발생하며 20억 원대까지 치솟았다. 용산구 등 비강남권에서도 아파트 전셋값이 10억 원을 넘긴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 11일 거래된 강남구 도곡동 도곡렉슬 전용면적 114㎡가 신고가인 32억 원에 거래되는 등 30억 원대에 진입한 아파트도 등장했다. 

정부의 두더지 잡기식 부동산 대책으로 비교적 저렴한 지역의 아파트가격도 함께 상승했다. 매매수요가 몰린데서 발생한 것이다. 

노원구는 올해 들어 지난 10월까지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상승률이 25개 구 중 가장 높은 것(25.1%, 경제만랩)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정대상지역으로 일부 지역이 묶이면서 인근 지역인 파주와 일산 등 집값이 밀어 올렸다. 

경기 김포와 부산, 대구 일부 지역이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되자 풍선 효과로 파주, 울산, 천안, 창원 등지에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 경기 파주 운정신도시 센트럴푸르지오 전용 85㎡는 8억6500만 원에 거래됐고 울산시 남구 문수로 2차 아이파크 1단지 전용 101㎡는 14억2000만 원에 손바뀜했다.

정부의 잇따른 대책에도 입주 물량 감소로 주택시장 불안은 계속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이 4만1000가구로 올해(5만3000가구)보다 22.7%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신규 입주 물량은 올해 5만234가구에서 내년 2만5931가구로 절반 가까이 감소한다. 이로 인해 수급 불균형 상황이 이어질 전망이다.

저작권자 © 시사비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